학급당 학생 수가 지나치게 많아 정상적인 수업 진행이 어려운 학급을 뜻하는 과밀학급. <br /> <br />교육부는 지난 2021년 '교육회복 종합방안 기본계획'을 통해 학급당 학생 수가 28명 이상인 학급을 과밀학급으로 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로 과밀학급이 꾸준히 줄고 있는 초중학교와는 달리 고등학교의 과밀학급은 지난해 전국적으로 대폭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지난 2022년 소폭 감소했던 울산지역 일반고 과밀학급 비율은 지난해 24.2%로 10%p 오르면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 폭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구군 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기준 울주군의 과밀학급이 4학교에 87학급으로 가장 심각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1, 2, 3학년 30학급이 모두 과밀학급인 울주군 범서고와 천상고는 학급당 평균 학생 수가 각각 33.1명과 32.4명, 1학년 학급당 학생 수는 무려 36.5명인 걸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2007년 황금돼지해에 태어난 학생들이 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생긴 현상으로 분석되지만, 2007년생이 많다는 것은 이미 예측이 됐던 만큼 대비가 미비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울산시교육청이 과밀학급 해소 대책의 일환으로 마련한 모듈러 교실도 울주군 범서고와 천상고에선 부지 문제와 학교 구성원 반대 등으로 도입이 사실상 무산됐습니다. <br /> <br />[울산 울주군 천상고 관계자 : 평지가 남아있는 부분이 운동장하고 주차장 일부밖에 없거든요. 갖다 놓을 데도 없다는 겁니다.] <br /> <br />울산시교육청은 지난해 단계적인 학급증설과 분산배치, 학교 신설 등을 통해 2천25년까지 울산지역 과밀학급을 전면 해소하겠다고 밝혔지만, 실현될진 미지숩니다. <br /> <br />학교신설은 내년에나 순차적으로 진행될 예정이고, 학급증설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학교가 많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과밀학교들은 학생 분산배치와 자연적인 학생 수 감소를 통한 과밀학급 해소를 기대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. <br /> <br />박영훈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ㅣ박민현 <br />그래픽ㅣ이슬기 <br />자막뉴스ㅣ이 선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12316342208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